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정렬증후군의 이론으로 해석하는 골반 움직임 - PART 1

by 기능과 구조2 2025. 2. 1.
반응형

부정렬증후군에서의 골반 변위 개념 정리

부정렬증후군(Misalignment Syndrome)은 골반과 척추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오늘은 골반과 천골의 움직임 중 골반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춰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부정렬증후군에서 설명하는 골반의 변위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1. 회전성 부정렬 (전방회전 & 후방회전)
  2. 업슬립 & 다운슬립
  3. 인플레어 & 아웃플레어

이제 각 변위의 특성과 영향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회전성 부정렬 (전방회전 & 후방회전)

 

골반의 전방회전과 후방회전은 가장 흔히 이야기되는 골반의 움직임입니다. 이는 시상면의 관상축을 중심으로 무명골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무명골(Innominate Bone)은 천골(sacrum) 양쪽에 위치한 골반 뼈로, 장골(ilium), 좌골(ischium), 치골(pubis)로 구성됩니다. 즉, 천골을 제외한 하나의 단위로 보는 명칭입니다.

🔹 전방회전 (Anterior Rotation)

  • 특징: 골반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며, 전상장골극(ASIS)이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후상장골극(PSIS)이 후상방으로 이동합니다.
  • 영향: 요추 전만이 증가하며, 허리 근육(요방형근, 척추기립근)의 긴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관련 증상: 허리 통증, 고관절 굴곡근 단축, 하체 불균형

🔹 후방회전 (Posterior Rotation)

  • 특징: 골반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며, ASIS가 후상방으로 이동하고 PSIS가 전하방으로 이동합니다.
  • 영향: 요추 전만이 감소하며, 둔부 근육과 햄스트링의 긴장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증상: 허리 디스크 부담 증가, 둔부 근육 단축, 무릎 및 발목 불균형

하지만 골반의 변위가 단순히 전방경사나 후방경사로만 해결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특히 인플레어 & 아웃플레어업슬립 & 다운슬립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보다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2. 골반의 인플레어 & 아웃플레어

 

골반 변위 중에서 비교적 주목받지 못하는 **인플레어(Inflare)와 아웃플레어(Outflare)**는 실제 교정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는 무명골이 횡단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안쪽(in) 또는 바깥쪽(out)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인플레어 (Inflare)

  • 특징: 무명골이 안쪽으로 이동하며, ASIS가 중앙선(Midline) 쪽으로 접근합니다.
  • 영향: 골반이 닫히는 형태로, 내전근이 긴장하며 고관절 내회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증상: 고관절 움직임 제한, 내전근 경직, 좌골신경통 발생 가능

🔹 아웃플레어 (Outflare)

  • 특징: 무명골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ASIS가 중앙선에서 멀어집니다.
  • 영향: 골반이 확장되는 형태로, 외전근이 긴장하며 고관절 외회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증상: 둔부 근육 불균형, 대둔근 약화, 무릎 및 발목 정렬 문제

교정 관점에서 인플레어 & 아웃플레어 조정이 선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골반의 전반적인 균형과 고관절 가동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골반의 업슬립 & 다운슬립

 

업슬립(Upslip)과 다운슬립(Downslip)은 무명골이 천골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수직 방향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주로 발생하며, 다리 길이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업슬립 (Upslip)

  • 특징: 무명골이 위로 이동하며, ASIS와 PSIS가 동시에 상승합니다.
  • 원인: 한쪽 다리로 점프 착지 시 충격, 골반 한쪽으로 지속적인 체중 부하
  • 관련 증상: 한쪽 다리 길이가 짧게 보이며, 골반 주변 근육 긴장 증가

🔹 다운슬립 (Downslip)

  • 특징: 무명골이 아래로 이동하며, ASIS와 PSIS가 동시에 하강합니다.
  • 원인: 한쪽 다리가 늪지대에 빠진 후 갑자기 빼내는 상황, 하체의 강한 견인력 작용
  • 관련 증상: 한쪽 다리 길이가 길게 보이며, 허리 및 둔부 근육의 불균형 발생

 


천골(Sacrum)의 움직임과 골반의 연관성

골반 변위와 함께 천골의 움직임 또한 부정렬증후군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천골은 골반과 척추의 연결점으로, 신체 균형 유지에 큰 역할을 합니다.

천골의 주요 움직임에는 **뉴테이션(Nutation)과 카운터뉴테이션(Counternutation)**이 있으며, 이는 골반과 허리의 기능적 움직임에 영향을 미칩니다.

 

🔹 뉴테이션 (Nutation)

  • 천골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 요추 전만 증가, 골반의 안정성 증가

🔹 카운터뉴테이션 (Counternutation)

  • 천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 요추 후만 증가, 골반의 가동성 증가

천골과 골반의 움직임을 함께 고려해야 부정렬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천골의 움직임은 다음시간 PART2에 소개 하겠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부정렬증후군에서 골반 변위의 주요 유형과 천골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올바른 골반 정렬은 허리 건강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신체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교정이 필요합니다.

 

위의 내용은 김성현의 신체교정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