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과 요통의 연관성은 기존의 근골격계 관점에서 종종 간과되지만, 신장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상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신장은 복강 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기이며, 횡격막과 긴밀한 연관을 가지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근골격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1. 신장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적 특징
신장은 횡격막과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신장을 지지하는 고정된 부착물이 없기 때문에 다른 장기들과의 인접성에 의해 안정성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신장의 움직임은 횡격막과 호흡 리듬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신장의 주요 움직임 패턴
- 횡격막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신장은 상하로 3~4cm 정도 이동합니다.
- 하루 평균 24,000번의 횡격막 운동에 따라 신장의 이동 거리는 약 600m 이상입니다.
- 신장의 움직임은 대요근과 요방형근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fascia(근막)를 통해 척추와 연결됩니다.
2. 신장과 근골격계의 연관성
우리가 흔히 요통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대요근과 요방형근은 신장과 동일한 fascia를 공유하며, 이러한 연결 구조로 인해 신장의 움직임 제한이 근육과 신경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신장의 움직임 제한이 요통을 유발하는 기전
- 대요근과 fascia 연결: 신장의 하수가 발생하면 대요근이 지속적으로 긴장하여 요추의 정렬을 방해하고 허리 통증을 유발합니다.
- 요방형근과 횡격막: 횡격막과 요방형근은 신장의 움직임과 연관되며, 신장의 제한이 요방형근의 긴장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허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척추와의 연결: 신장이 하강하면 척추와의 fascia 연결을 통해 요추 및 골반 정렬에 영향을 미쳐 만성 요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신장과 대퇴신경, 무릎 통증의 관계
신장은 직접적으로 요통뿐만 아니라 하체의 통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신장의 움직임 제한이 신경을 압박하거나 fascia의 긴장을 유발하여 대퇴부 및 무릎 부위의 통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우측 신장의 영향
- 상행결장 및 맹장과의 연결: 우측 신장은 상행결장과 맹장 부위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장 기능 이상이 신장 및 허리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Toldt's fascia와 척추: Toldt's fascia는 신장과 대장, 척추를 연결하며, 이 부위의 긴장이 요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대퇴신경 압박: 신장의 하수로 인해 대퇴신경이 압박되면 무릎 관절의 통증 및 대퇴부 피부 과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좌측 신장의 영향
- 난소정맥과의 연결: 좌측 신장은 난소정맥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정맥 울혈이 발생하면 골반 부위의 불편함과 요통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요관과 방광의 연결: 신장은 요관을 통해 방광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뇨의 불편함과 함께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신장의 문제로 인한 요통의 특징적인 증상
신장의 기능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요통은 일반적인 근골격계 요통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증상
- 아침에 심한 요통: 기상 후 10~30분 내에 증상이 완화되지만, 저녁이 되면 다시 악화되는 경향이 있음.
- 대퇴부 및 무릎의 불편감: 낮 동안 점차 증가하는 대퇴부 및 무릎 부위의 저림과 통증.
- 좌골신경통 유사 증상: 신장 기원의 좌골신경통은 우측보다 좌측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치료가 까다로운 경우가 많음.
- 기침이나 작은 충격에도 허리 통증 증가: 요방형근의 긴장으로 인해 발생.
- 서혜부 및 외측 대퇴부 통증: 신장의 하수가 장골하복신경과 서혜부신경을 자극하여 외측 옆구리 및 생식기 부위의 불편함을 유발함.
- 무릎 내측 통증: 신장이 심하게 하수되면 음부대퇴신경 또는 외측대퇴부피부신경이 자극되어 무릎 내측으로 방사되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
치료 방향
일반적인 허리 치료만으로는 신장 기원의 요통을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척추를 직접적으로 치료하기보다, 신장과 관련된 장기 및 구조적 요소를 먼저 해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횡격막 활성화: 횡격막의 움직임을 개선하여 신장의 기능적 제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소화기 개선: 간과 위, 상행 및 하행결장의 기능을 개선하여 신장의 움직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근육-신경-내장 연결 분석: 단순한 근골격 문제로 접근하기보다, 신장 및 내장기 기능까지 고려한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신장과 요통의 연관성을 이해하면 기존의 치료 접근 방식을 넘어 보다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신체의 구조적·기능적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한 허리와 근골격계를 유지하는 핵심입니다.
위의 내용은 김성현의 신체교정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woong9971/223168459529
신장의 제한에 의한 요통
신장과 연결된 요통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신장은 횡격막에 영향을 받게 되고,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