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스굿슐레터 무릎통증 과연 성장통 일까?

by 기능과 구조2 2025. 1. 31.
반응형

오늘은 성장기의 아이들과 청소년에게 있는 증상 중 오스굿슐레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대퇴직근이 경골조면에 와서 부착된 것을 볼수 있습니다. 아마도 오스굿에 관련된 가장 큰 열쇠가 아닌가 합니다.

증상은 경골조면에 국소적으로 나타 납니다. 하지만 원인은 무너져가는 신체로 인한것 입니다.

우리가 공부하면서 알고 있는 x교차증후군으로도 해석을 할수도 있습니다.

위의 그림이 대표적인 x교자증후군의 상태로 보입니다.

저렇게 구부러지고 찌그러진 상태에서 올바른 생활을할 수 없습니다.

올바른 직립이 아닌 위에서 아래로 당겨지는 힘에 대항하여 억지로 펴고 살게 됩니다. 그림에서 처럼 극단적인 상태로 생활하는 것이 아니라 보상을 통해 겉의 모습은 많은 표시가 나지 않지만 신체내부적으로는 비정상적인 장력이 발생되게 됩니다.

x교자증후군에서 이야기 하는 짧아진 구조물인 고관절 굴곡근들은 위에 말씀드린 신체 보상의 상태에 의해 비정상적인 장력이 발생되게 됩니다.

결국 이 장력은 경골조면에 긴장을 불러 일으키고 불편함과 통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오스굿슐레터 증상을 가진 아이들과 청소년에게서 뒤로 심하게 굽은 흉추와 요추의 비정상적인 형태가 함께 존재 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발은 평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심한경우 측만은 당연히 존재 합니다.

결국 통증이 있는 무릎은 그저 결과이고 증상일 뿐입니다. 치료사가 결과와 증상만 바라보면 문제의 해결을 하기는 당연히 어려울 것이고, 원인으로 인한 다른 더 중요한 결과물들을 놓치고 맙니다.

위의 내용은 김성현의 신체교정 내중을 발췌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