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상적인 척추운동 중위역학 및 비중위역학

by 기능과 구조2 2025. 2. 12.
반응형

척추 운동의 기본 개념

척추는 인체의 중심을 이루는 구조로, 다양한 운동이 결합되어 복잡한 움직임을 형성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척추의 기본적인 평면운동과 짝운동(Coupled Motion)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특히, 짝운동은 정상적인 척추 운동 패턴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중위역학(Type 1)과 비중위역학(Type 2)으로 나뉩니다.

척추의 주요 운동 평면

척추의 움직임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운동으로 분류됩니다.

  1. 굴곡(Flexion): 몸을 앞으로 구부리는 운동
  2. 신전(Extension): 몸을 뒤로 젖히는 운동
  3. 측굴(Lateral Flexion):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운동
  4. 회전(Rotation): 몸을 좌우로 비트는 운동

이러한 운동들은 개별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두 가지 이상의 운동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짝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척추의 짝운동(Coupled Motion) 개념

짝운동이란, 척추에서 하나의 운동이 일어날 때, 자동적으로 다른 운동이 함께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척추의 구조적 특징과 근육, 인대의 협력 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척추의 짝운동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1. 중위역학(Type 1 Mechanics)

중립 자세에서 발생하는 운동 패턴으로, 주로 흉추와 요추에서 나타납니다.

  • 측굴과 반대 방향의 회전이 함께 발생합니다.
  • 예를 들어, 흉추나 요추에서 좌측 측굴이 일어날 때, 척추는 우측으로 회전합니다.
  • 정상적인 기능 상태에서 발생하는 패턴이며, 인체 움직임의 기본적인 법칙으로 작용합니다.

2. 비중위역학(Type 2 Mechanics)

척추가 굴곡 또는 신전 상태에서 발생하는 운동 패턴으로, 주로 경추에서 관찰됩니다.

  • 측굴과 회전이 같은 방향으로 발생합니다.
  • 예를 들어, 경추에서 좌측 측굴이 일어날 때, 좌측으로 회전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하가 가해질 때 나타나는 움직임으로,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자주 관찰됩니다.

척추 부위별 커플모션

척추의 짝운동은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경추, 흉추, 요추에서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경추(Neck, Cervical Spine)

  • 중위역학에서는 측굴과 회전이 같은 방향으로 발생합니다.
  • 예를 들어, 경추에서 좌측 측굴이 일어나면, 좌측 회전이 동반됩니다.
  • 이는 경추의 해부학적 구조와 관절면의 기울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2. 흉추(Thoracic Spine)

  • 중위역학에서는 측굴과 반대 방향의 회전이 발생합니다.
  • 예를 들어, 흉추에서 좌측 측굴이 발생하면, 우측 회전이 나타납니다.
  • 흉추는 늑골과 연관이 있어 움직임이 제한되며, 호흡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3. 요추(Lumbar Spine)

  • 중위역학에서는 흉추와 마찬가지로 측굴과 반대 방향의 회전이 나타납니다.
  • 비중위역학 상태에서는 회전과 측굴이 같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요추는 하중을 많이 받는 부위이므로, 이러한 움직임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부상 예방에 중요합니다.

위의 내용은 김성현의 신체교정중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아래 영상 링크를 남겨 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woong9971/220893751040

정상 척추운동에 의한 척추역학(중위역학, 비중위역학)

오늘은 정상적인 척추운동에 대한 기본적인 평면운동과 짝운동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는 영상을 올려 보도...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