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골(Sacrum)과 장골(Ilium)의 관계는 골반의 안정성과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상호작용은 일상적인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천골은 장골과 함께 움직이며, 이때 발생하는 다양한 패턴 중 하나가 천골의 염전(Torsion)입니다. 천골 염전은 천골이 사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전방 염전(Forward Torsion)과 후방 염전(Backward Tors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천골의 전방 염전(Forward Torsio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방 염전은 천골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두 가지 패턴으로 나타납니다.
1.좌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한 좌측 염전(Left on Left, LOL): 천골이 좌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는 패턴입니다.
2.우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한 우측 염전(Right on Right, ROR): 천골이 우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는 패턴입니다.
이러한 명칭에서 첫 번째 'L' 또는 'R'은 천골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두 번째 'L' 또는 'R'은 회전의 축이 되는 사선 축의 방향을 의미합니다.
좌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한 좌측 염전(Left on Left, LOL)
이 패턴에서는 천골이 좌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합니다. 이로 인해 우측 천골구(PSIS 내측 아래)는 하강하고, 천골저(천골 윗부분의 중앙 움푹 패인 곳)는 전방과 하방으로 회전합니다. 반면, 좌측 천골첨(천골과 미골이 만나는 지점)과 하외측각(천골첨의 외측 모서리)은 상승하며 후방과 상방으로 회전합니다. 즉, 천골은 좌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비틀림과 기울기가 생깁니다.
우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한 우측 염전(Right on Right, ROR)
이 패턴은 앞서 설명한 LOL 패턴의 반대입니다. 천골이 우측 사선 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합니다. 이로 인해 좌측 천골구는 하강하고, 천골저는 전방과 하방으로 회전합니다. 반면, 우측 천골첨과 하외측각은 상승하며 후방과 상방으로 회전합니다.
이러한 전방 염전 패턴은 천골이 전방으로 변위되면서 요천추의 각이 커지고, 이는 요추 전만을 증가시킵니다. 이때 요추의 회전은 천골의 회전 방향과 반대가 되며, 이는 요추와 천골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나타냅니다.
천골의 이러한 변위는 근에너지 테크닉(Muscle Energy Technique, MET)과 같은 방법을 통해 교정할 수 있습니다. MET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정 방법으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후방 염전(Backward Torsio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천골 변위를 확인하고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동영상을 통해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천골과 요추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정 방법을 습득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천골의 변위는 요추의 변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요추를 교정할지 천골을 교정할지 선택해야 합니다. 이러한 결정은 임상 경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의 이론적인 설명이 끝난 후에는, 실제 교정 방법을 동영상을 통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특히, 근에너지 테크닉(MET)을 활용한 교정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천골의 변위와 그 교정 방법에 대한 이해는 임상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주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다루며, 여러분의 지식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내용은 김성현의 신체교정 내용을 발췌 하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woong9971/220815595651
부정렬 증후군으로 바라본 천골의 염전 패턴 part 1 (FORWARD TORSION) 천골 전방염전
지난 시간 천골과 장골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지난 시간에도 천골염전 패턴에 대해서 간략하...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