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골반의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천골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천장관절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1. 천골의 구조
천골은 천골 자체와 미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정렬증후군을 이해하기 위해 천골의 명칭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천골바닥 → 부정렬증후군에서는 천골저라고 표현됨
- 천골끝 → 부정렬증후군에서는 천골첨이라고 표현됨
천골측면은 오목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장골의 볼록한 면과 만나 천장관절을 형성합니다. 이 관절은 양측 장골 사이에 천골이 끼워진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절면 자체는 다른 관절들에 비해 매우 불안정하게 위치하며, 거의 살짝 얹혀져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천골은 좌우 장골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천장관절의 움직임이 미세한 이유도 이러한 구조적 특성 때문입니다.
2. 천장관절의 기능
천장관절은 신체의 안정성과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중력과 체중 분산
- 앉은 자세에서는 장골을 거쳐 좌골결절로, 서 있는 자세에서는 고관절을 거쳐 하지로 체중이 전달됩니다.
- 충격 흡수
- 보행 중 하지에서 전달되는 부하를 장골을 거쳐 천골과 요천추 연접부를 통해 척추로 전달하며, 근막과 인대 구조가 충격을 흡수합니다.
- 보행 시 충격 완화
-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순간(heel strike)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 전단력 감소
- 천장관절은 병진운동을 통해 전단력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확보하며, 이는 천장관절이 단순한 부동관절이 아니라는 사실을 시사합니다.
천장관절은 움직임이 많지 않지만, 미세한 변위가 신체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정렬증후군에서는 이러한 미세한 움직임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3. 천골과 장골의 역할 차이
천장관절에서 천골과 장골은 역할이 다릅니다.
- 천골: 지지와 힘의 분배, 전달 역할 수행
- 장골: 척추의 회전 에너지를 받아 강력한 회전운동 수행
천골은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며, 장골의 움직임을 받아 하지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움직임을 허용합니다. 하지만 천골이 너무 많이 움직이면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이 어려워집니다.
천장관절의 병인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장골이 정상적인 움직임을 상실하여 고착화될 경우, 천골이 이를 보상하려 움직이면서 불안정해지고 변위를 일으키는 데 있습니다.
4. 천골의 지지 역할과 포크레인의 비유
천골의 역할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포크레인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포크레인의 앞부분 → 신체의 척추
- 포크레인의 후면(웨이트발란스 부분) → 신체의 천골
포크레인은 앞에서 땅을 파는 작업을 할 때, 뒤쪽에서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웨이트발란스가 필요합니다. 만약 이 균형이 맞지 않으면 포크레인은 앞으로 넘어지거나 힘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합니다.
신체도 마찬가지로, 천골이 든든한 지지 역할을 해야 척추와 하지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집니다. 만약 천골이 불안정하면 신체는 여러 가지 불균형에 노출되며, X교차 증후군과 같은 자세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천골이 불안정해지는 원인과 해결 방법
천골이 불안정해지는 주요 원인은 장골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보상 작용 때문입니다.
- 천골 자체를 치료하기보다는 장골의 운동성을 회복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 장골이 정상적인 움직임과 위치를 유지하면 천골도 자연스럽게 본연의 기능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천골의 치료를 우선시하는 것은 치료 과정을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선법칙을 적용한 치료 접근법
치료에서는 우선해야 할 부분과 하지 말아야 할 부분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장골의 운동성과 기능 회복을 먼저 수행하면 천골은 자연스럽게 제자리를 찾습니다.
- 천골의 변위를 직접 교정하기보다는 장골의 움직임을 활성화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6. 천골의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
천골의 움직임 중 중요한 개념은 **뉴테이션(Nutation)**과 **카운터뉴테이션(Counter-Nutation)**입니다.
- 뉴테이션: 천골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 카운터뉴테이션: 천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
이러한 움직임은 보행과 자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천장관절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결론: 천골의 가장 중요한 기능
오늘 설명한 내용 중 가장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천골의 역할은 든든한 무게추 역할을 하는 지지와 버팀목이다.
천골의 명칭이나 복잡한 이론보다, 천골이 신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시간 예고
다음 시간에는 부정렬증후군에서 바라보는 천골의 염전과 다양한 움직임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