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장관절의 움직임 이해: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

by 기능과 구조2 2025. 2. 4.
반응형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SIJ)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천골(Sacrum)의 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천골의 움직임은 크게 4개의 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며, 그중 가장 중요한 축은 **관상축(Transverse Axis)**입니다. 이 축을 기준으로 천골은 두 가지 주요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1. 천골의 주요 움직임: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

천골이 관상축을 중심으로 움직일 때 나타나는 두 가지 주요 움직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뉴테이션(Nutation)
    • 천골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움직임입니다.
    • 천골의 관절면이 무명골(Ilium)에 대해 후하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2. 카운터뉴테이션(Counternutation)
    • 천골이 뒤로 기울어지는 움직임입니다.
    • 천골의 관절면이 무명골에 대해 전상방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의 움직임을 살펴보겠습니다.


2. 천골의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의 시상면 움직임

천골의 움직임을 시상면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은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뉴테이션 시: 천골이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관절면이 후하방으로 이동합니다.
  • 카운터뉴테이션 시: 천골이 뒤로 기울어지면서 관절면이 전상방으로 이동합니다.

쉽게 말해, 뉴테이션은 천골이 앞으로 숙여지는 움직임, 카운터뉴테이션은 뒤로 젖혀지는 움직임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3. 천골과 무명골의 커플 움직임

천골과 무명골은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커플링된 움직임(Coupled Motion)**을 가집니다.

 

  1. 뉴테이션 시
    • 천골이 앞으로 기울어질 때, 무명골(PSIS 기준)은 뒤로 기울어집니다(후하방 이동).
  2. 카운터뉴테이션 시
    • 천골이 뒤로 기울어질 때, 무명골(PSIS 기준)은 앞으로 기울어집니다(전상방 이동).

이러한 움직임은 신체의 체중 지지 여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4. 뉴테이션과 요추 전만의 관계

 

우리 몸은 뉴테이션의 움직임을 많이 허용하지만, 카운터뉴테이션의 움직임은 제한적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천골의 앞쪽에는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물이 거의 없습니다.
  • 반면, 천골의 뒤쪽은 무명골의 PSIS 부분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이로 인해, 천골의 뉴테이션이 더 많이 발생하며, 이는 요추의 전만(Lordosis)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5. 체중 지지 여부에 따른 천골 움직임의 차이

 

천골의 움직임은 체중 지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1. 좌우측 체중지지가 동일한 상태 (서 있는 자세, 앉아 있는 자세)
    •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이 좌우측에서 동시에 발생합니다.
  2. 보행 시 (좌우측 체중지지가 다를 때)
    • 한쪽은 뉴테이션, 반대쪽은 카운터뉴테이션이 교대로 발생합니다.
    • 이처럼 보행 중 발생하는 천골의 회전 움직임을 **염전(Torsion)**이라고 합니다.

  • 6. 보행 시 천골과 무명골의 염전(Torsion) 움직임

    보행 시에는 한쪽 발이 체중을 지지하는 동안 다른 쪽 발이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이때 천골과 무명골은 교대로 움직이며, 이를 **천골의 염전(Torsion)**이라고 합니다.

    • 체중이 실린 쪽의 천골은 **뉴테이션(Nutation)**이 발생합니다.
    • 반대쪽 체중이 실리지 않은 천골은 **카운터뉴테이션(Counternutation)**이 발생합니다.

    이 움직임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상적인 보행이 이루어지려면 천골과 무명골의 유연한 커플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 만약 천골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보행 시 요추와 골반의 움직임에도 제한이 발생합니다.
    • 이러한 제한은 요통, 골반 불균형, 자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7. 천골의 움직임과 요추의 연관성

    천골과 요추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천골의 움직임에 따라 요추의 움직임도 결정됩니다.

    1. 천골이 뉴테이션(Nutation)될 때
      • 요추는 신전(Extension)하게 됩니다.
      • 결과적으로 요추 전만(Lordosis)이 증가합니다.
    2. 천골이 카운터뉴테이션(Counternutation)될 때
      • 요추는 굴곡(Flexion)하게 됩니다.
      • 결과적으로 요추 후만(Kyphosis)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어떤 자세를 유지하느냐에 따라 천골과 요추의 정렬이 달라지고, 척추 전체의 균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8.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의 임상적 의미

    ① 요추 전만이 심한 경우 (Hyperlordosis)

    • 요추 전만이 심한 경우, 보통 천골이 과도한 뉴테이션 상태를 유지합니다.
    • 이로 인해 허리 근육(척추기립근, 다열근 등)이 긴장하며, 요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이러한 경우, 천골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과도한 뉴테이션을 방지하는 운동이 필요합니다.

    ② 요추 후만이 심한 경우 (Hypolordosis)

    • 요추 후만이 증가하면, 천골은 카운터뉴테이션 상태로 고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로 인해 **골반 후방 경사(Posterior Pelvic Tilt)**가 증가하고, 허리의 유연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경우, 천골의 뉴테이션을 유도하는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9. 천골과 골반 움직임을 조절하는 운동

    천골과 무명골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을 적절히 조절하는 운동이 필요합니다.

    ✅ 뉴테이션을 촉진하는 운동 (요추 신전 강화)

    • 코브라 자세(Cobra Pose)
    • 브릿지 운동(Glute Bridge)
    • 힙 플렉서 스트레칭(Hip Flexor Stretch)

    ✅ 카운터뉴테이션을 촉진하는 운동 (요추 굴곡 강화)

    • 무릎을 가슴으로 당기는 운동(Knee to Chest Stretch)
    • 캣 카우 스트레칭(Cat-Cow Stretch)
    • 허리 굴곡 스트레칭(Child's Pose)

    이러한 운동을 통해 천골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요추의 정렬을 정상화할 수 있습니다.


    10. 결론: 천골 움직임의 중요성

    천골의 뉴테이션과 카운터뉴테이션은 단순한 움직임이 아니라, 요추와 골반의 정렬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 천골이 뉴테이션 되면 요추는 신전하고, 골반은 전방경사됩니다.
    • 천골이 카운터뉴테이션 되면 요추는 굴곡하고, 골반은 후방경사됩니다.
    • 체중 지지 여부에 따라 천골의 움직임이 달라지며, 보행 시 염전(Torsion) 움직임이 발생합니다.
    • 과도한 뉴테이션이나 카운터뉴테이션은 요추 정렬에 영향을 미쳐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골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허리 통증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천골의 움직임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위의 내용은 김성현의 신체교정(https://blog.naver.com/woong9971/220786762839)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은 천골의 염전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