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장관절의 천골 전방염전(FORWARD TORSION)과 후방염전(BACKWARD TORSION)의 리스팅 방법 및 ROR 전방염전 교정 방법

by 기능과 구조2 2025. 2. 8.
반응형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SI Joint)의 변위는 척추 및 골반의 균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천골(Sacrum)의 전방염전(Forward Torsion)과 후방염전(Backward Torsion)은 허리 통증, 골반 불균형 및 기능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변위를 정확히 진단하는 리스팅(Listing) 방법과 ROR(Right on Right) 전방염전의 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천장관절 검사 방법

천장관절의 변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 방법을 사용합니다.

1-1. 서서하는 굴곡검사 (Standing Flexion Test) 및 앉아서 하는 굴곡검사 (Seated Flexion Test)

서서하는 굴곡검사는 천장관절의 잠김(Locking)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이며, 앉아서 하는 굴곡검사는 천골과 장골의 움직임을 구별하여 평가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검사 방법:

  1. 서서 또는 앉은 상태에서 검사자는 환자의 후상장골극(PSIS, 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에 손을 놓습니다.
  2. 환자에게 전방으로 몸을 굽히도록 지시합니다.
  3. 양쪽 PSIS 중 한쪽이 더 빠르게 상승하면, 해당 부위의 천장관절이 제한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의 검사는 천장관절의 문제를 평가하는 기초적인 방법으로, 변위의 방향을 글로벌하게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 복와위 자세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합니다.

2. 복와위 자세에서 천골 변위 검사

환자가 복와위(Prone) 자세에서 천장관절의 변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검사 방법:

  1. 검사자는 양 검지를 천장관절의 천골구(Sacral Sulcus)에 위치시키고, 엄지를 하외측각(ILA, Inferior Lateral Angle)에 위치시킵니다.
  2. 천골구의 깊이를 평가하여 좌우 중 어느 곳이 더 깊은지를 확인합니다.
  3. 대각선 방향의 하외측각(ILA)의 위치를 평가하여 반대 측의 깊이 변화를 확인합니다.
  4. 환자를 신전(Extension) 시킨 후, 천골구와 하외측각의 변화 양상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전방염전(Forward Torsion)인지 후방염전(Backward Torsion)인지 결정합니다.

3. ROR(Right on Right) 전방염전 교정 방법

ROR 전방염전은 우측 사선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한 천골 변위를 의미합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 근에너지테크닉(MET, Muscle Energy Technique)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3-1. 근에너지테크닉(MET) 적용 방법

환자 자세 조정 및 근육 수축 유도

  • 환자를 좌측 측와위(Left Side-Lying)로 눕힌 후, 상체를 약간 전방으로 회전시켜 천골의 대각선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검사자는 환자의 우측 다리를 잡고 엉덩이를 뒤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환자는 검사자의 저항에 대항하여 다리를 앞으로 밀어내도록 합니다.

천골의 정상 정렬 유도

  • 검사자는 천골의 좌측 상부와 우측 하부를 지지하며, 환자의 다리 움직임과 동시에 천골을 정상 정렬로 유도합니다.
  • 신장된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었을 때 천골을 부드럽게 압박하여 교정을 마무리합니다.

MET를 활용한 교정법은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이나 오스테오패시(Osteopathy)와 같은 직접적인 교정법(HVLA, High Velocity Low Amplitude) 없이도 효과적으로 변위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MET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방법

앞서 설명한 MET 기법은 척추의 각 분절 교정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MET를 활용한 척추 교정 방법입니다.

4-1. 요추(Lumbar Spine) 교정

  1. 환자는 측와위(Lateral Recumbent)로 눕습니다.
  2. 검사자는 환자의 골반과 어깨를 조정하여 특정 요추 분절을 타겟으로 합니다.
  3. 환자는 검사자의 저항에 대항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힘을 줍니다.
  4. 5~7초 후, 환자가 힘을 이완하는 동안 검사자는 부드럽게 천천히 해당 부위를 교정합니다.

4-2. 흉추(Thoracic Spine) 교정

  1. 환자는 앉은 상태에서 팔을 가슴 위로 교차합니다.
  2. 검사자는 환자의 등 뒤에서 특정 흉추 분절을 타겟으로 합니다.
  3. 환자는 검사자의 저항에 대항하여 팔을 전방으로 밀어냅니다.
  4. 5~7초간 유지 후, 환자가 이완할 때 검사자는 부드럽게 교정을 시행합니다.

5. 결론

천장관절의 변위는 요추 및 골반의 정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를 교정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 및 치료법이 활용됩니다. 특히, 근에너지테크닉(MET)은 비침습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교정 방법으로, 천장관절 및 척추 교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흉추와 경추를 MET를 통해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수정방법 영상을 올려봅니다. 영상은 김성현의 신체교정 내용중 발췌 입니다.

https://blog.naver.com/woong9971/220836816606

 

천장관절 변위 리스팅을 통한 SACRAL RIGHT ON RIGHT TORSION(천골의 전방염전) FORWARD TORSION 근에너지테크

천장관절의 천골의 전방염전(FORWARD TORSION), 후방염전(BACKWARD)의 리스팅 하는 ...

blog.naver.com

 

반응형